무의도(舞衣島)
무의도(舞衣島)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행정동은 용유동)의 섬으로,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용유도의 남서쪽에 있습니다.
면적은 2011년 말 기준으로 10.21 ㎢이고, 인구는 2015년 5월말 기준으로 824 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무의도(舞衣島)라는 이름은 섬의 생김새가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장수가
칼춤을 추는 모습과 같다고 붙여졌다는 설과 여인의 춤추는 모습을 닮아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 밖에 "무리"를 한자로 쓸때 무의"로 잘못 썼다는 추측도 있습니다.
[년혁]
거주 시작은 조선후기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습니다.
1853년 : 인천부
1914년 4월 1일 : 부천군
1973년 7월 1일 : 부천군 폐지로 옹진군에 편입.
1989년 1월 1일 : 인천 중구에 편입
무의도 가기 위하여 인터넷에 올라온 자료들을 보면 하나같이 정확한 정보와 가는길 등 무의도에 도착해서
여러가지 설명을 한 자료들이 무수히 많지만, 초행길로 무의도에 도착해서
어떤 방법으로 여행을 한다는 자료가 없었습니다.
잠진도선착장 → 큰무리선착장까지 배타는 시간은
잠진도선착장에서 출발한 배는 뱃머리를 돌리고나면 바로 큰무리선착장에 도착합니다.
승용차 배에 실을경우, 왕복 20,000원 / 탑승객 어른 3,000원, 어린이 2,000원 받습니다.
말로만 듣던 해안가 섬의 비하면 그리 흥미를 가지고 싶거나 관광지로 부르기는 아직 이른것 같았습니다.
조금 알려진 부분이 "천국의 계단" 드라마와 "실미도영화 촬영장" 그것도 구경하려면 입구에
바리케이트를 쳐놓고 가는곳마다 1인당 2,000원씩 입장료를 지불하고 들어가야 합니다.
무의도 주변을 사진으로 올려 드리겠습니다.
무의도 가는길
무의도 가는길은 여러방법이 있지만, 두가지 방법은 승용차, 대중교통이 있습니다.
무의도를 가기전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인터넷으로 지도 검색으로 "길찾기"를 하면 됩니다.
출발지점 (어디서) 도착지점(무위도)로 검색하면 그곳까지 가는길이 자세하게 나와 있습니다.
문제는"
잠진도선착장에 도착, 배를 타고 건너가서
큰무리선착장에 도착해서 어떻게 구경을 할것인가 가 문제입니다.
[1] 승용차
하나개해수욕장 1차,
2차는 국사봉으로 올라가는 입구에 승용차를 대기 시켜놓고
→ 국사봉 → 구름다리 → 호룡곡선 → 광명항 소무의인도교 주차장으로 내려갑니다.
승용차를 이렇게 해둘 경우, 다시 원이치로 돌아가야하며 그렇게되면 이곳에서 시간 모두 소비 합니다.
[2] 대중교통
가장좋은 방법은 큰무리 선착장에 내린후 그곳 주차장에 자동차를 주차해놓고 마을 버스를 타고 광명항까지 가서
그곳 소무의인도교를 건너서 조망대를 구경후, 광명항으로 와서 등산로 입구를 찾아서 마당바위 → 호룡곡선 → 국사봉
→ 큰무리선착장으로 오면 됩니다.
하나개유원지. 실미해수욕장 두곳으로 함께 구경하려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하면서 큰무리선착장으로 와야 합니다.
이렇게 보행할 경우, 상당한 시간이 소요 되므로 잠진도선착장에서 첫배를타고 가야만 될것 같습니다.
무의도 큰무리선착장에서 마지막 배시간은 계절따라 조금씩 다르며 아래 무의도해운 홈페이지를 참고하여 주세요~
무의도해운 홈페이지 바로가기 ▶ http://www.muuido.kr/html/subpage/sub06_02.html?url=6_2
아래 지도를 잘 본후,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것인지, 계획을 세우면 됩니다.
복장은 걸음을 많이 걸어야 하므로, 편안 복장과 신발 역시 편안하게 오래 걸을수 있는 신발을 선택(등산화)를
신을수록 좋습니다. 편안한 길도 많지만 산행시 급경사의 산길이 많고, 때에 따라서는 포장길도 많이 걷게 됩니다.
[스크랩] 아침 산책로 두물머리 (0) | 2016.06.23 |
---|---|
[스크랩] 제3땅굴 (0) | 2016.05.13 |
[스크랩] 이효석문학관 (0) | 2016.04.02 |
[스크랩] 양평 용문사 (0) | 2015.10.29 |
[스크랩] 제부도 (0) | 2015.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