平和의 댐
국방부·건설부·문화공보부·통일원 장관 합동담화문 1986
「한국수자원공사법」(법률 제8014호 제10조)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법률 제6021호)
배경
평화의 댐은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천미리와 화천군 화천읍 동촌2리에 걸쳐있으며 북한의 금강산댐의 수공(水功) 위협에 방어한다는 명분으로 1986년 10월 30일 착공하였고, 15개월 만인 1988년 5월에 1단계공사가 완료되었다. 당시 북한이 휴전선 북방 10km 북한강 본류와 만나는 곳에 대규모의 금강산댐을 건설하고 그 물을 원산 쪽으로 역류시켜 발전하는 공사를 진행 중인데, 이 댐이 완성될 경우 화천방면을 거쳐 북한강으로 유입되는 연간 18억t의 공업 및 생활용수의 공급이 중단될 것이다. 또한 만일 9억t의 물이 방류되면 한강 인도교 부근 수위가 표고 20m가지 상승해서 제방(18m)을 월류해 서울의 3/1이 침수될 것이며, 금강산댐의 저수량이 최대 2백억t까지 이를 것으로 추정해 이를 수공에 사용한다면 12∼16시간만에 수도권이 완전 수몰화 할 것이라 예측 되었다. 또한 이러한 수공으로 1988년 서울 올림픽 대회를 방해하기 위한 댐으로 판단되어 이에 따라 1986년 11월 26일 국방부 건설부·문화공보부·통일원 장관이 합동담화문을 발표하고 금강산댐의 수공에 대응으로 평화의 댐을 건설하기로 발표했다.
내용
1. 공사비용
2. 공사추진내용
평화의 댐은 애초 높이 135m로 계획되었으나 1단계에서 높이 80m 길이 4백 50m 규모로 건설한 뒤 북한의 금강산댐의 건설 진행 과정을 지켜보면서 나머지를 완료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파로호 상류에 위치한 평화의 댐은 길이 410m, 높이 80m, 만수위 221.5m, 최대저수량 5억 9000만t이었다. 그러나 댐으로 유입되는 물은 4개의 배수터널을 통해 화천댐으로 흘러 홍수 때를 제외하고는 항상 비어있어 댐의 효율성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다시말해 규모는 크지만 발전 기능과 인위적인 홍수 조절기능이 없어 그동안 댐 무용론이 꾸준히 제기되어 오다가 1995년과 1996년 집중호우 때 홍수 조절 기능이 입증되어 댐을 활성화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북한의 금강산댐이 1986년 10월 착공후 1999년 6월부터 본격적인 댐축조에 착수하여 2000년 10월 1단계 공사가 완료되었으나 2002년 1월 17일부터 금강산댐의 부분함몰(추정)에 따른 흙탕물 유입등 이상 징후가 발생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긴급히 평화의 댐 보강공사의 시행과 파로호(화천댐)의 최저수위를 유지한다는 정부대책 발표가 2002년 5월 3일에 있었고, 2002년 7월 19일 평화의 댐 2단계 증축공사 시행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2002년 9월에 평화의 댐 2단계 증축공사를 시행 하였다. 2단계 공사는 길이 601m, 높이 45m로 댐을 증축하고 사면을 보호하기 위해 콘크리트로 덧씌우는 공정으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 방식이며 이 공사로 평화의 댐은 현재 높이 80m에서 1백 25m로 높아지고 저수용량도 5억 9천만t에서 26억 9천만t으로 증가한다. 진입도로도 3.1km를 연장 공사하였다.
3. 추진결과
평화의댐은 2단계 공사가 완성되면 댐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댐 정상으로 진입하기위한 도로와 교량 터널을 만들고 평화의 댐주변은 철의 삼각지 양구 펀치볼 전적비 고성 통일전망대등을 잇는 통일 안보관광지의 요충지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댐 주변에 상설야외공연장·비목공원·수하리 낚시터·비수구미계곡 등 관광지가 많이 있으며 물 문화관, 조각공원 등 댐을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 중이다. 평화의 댐은 문민정부가 들어선 1993년에 감사원의 감사를 받았는데 감사에 따르면 금강산댐의 저수량 70억∼200억t은 과대산출로, 종합분석결과 27.2억t∼59.4억t이 적정치 이였으며 59.4억t이 방류되어도 일부 저지대만이 침수당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금강산댐의 수공위협과 피해예측은 과장된 것으로 당시 평화의 댐 건설은 불요불급(不要不急)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 결국 평화의 댐은 정치안보차원에서 불안한 정국을 전환하기 위한 분위기 조성용으로 건설된 조급한 과잉대응으로 평가 되어진다.
=위의 내용은 평화의댐에 대하여 보충설명이 필요한것 같아서 무인의 글을 옮겨 놓았습니다==
이곳으로 가게된 것은 군입대한 아들의 첫외박을 맞이하기 위하여 양구
2사단신병교육대대를 방문후 양구 시내에서 1시간 거리에 위치하여 있기에 평화의댐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바람이 너무 세차게 불어서 오래 머물지 못하고 몇군데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왔습니다.
▲ 양구에서 평화의댐으로 가는도중 뒤돌아온 길입니다.
▲ 이 터널을 통과하면 평화의 댐이 나옵니다.
▲ 여기까기 양구군을 알리며, 이곳을 지나면 화천군으로 들어 갑니다.
▲ 화천군 터널을 들어가기 전입니다.
▲ 터널을 빠져나오면 바로 평화의댐으로 진입.
▲ 평화의댐이란 글귀와 조금 거리가 멀어 보이는 글내용.
▲ 평화의댐 바닦에서 위까지 높이는 위에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 세계평화의종이 언제 울릴지 기약없이 기다려 집니다. 하루빨리 울렸으면 하는마음 간절합니다.
▲ 통일이 되는 그날 울리려고 쇠사슬로 꽁꽁 묶인채로~
▲ 댐 바닦에는 얼음이 얼어 있었습니다.
▲ 수심이 깊어서인지 얼음이 얼지않는 곳도...
▲ 댐 뒷쪽입니다.
▲ 돌과 시멘트로 만든 댐의 뚝, 위에는 화천으로 통행하는 도로.
▲ 직선으로 본 댐의 모습.
▲ 전시실과 영상실 공사 사무실 등.
▲ 평화의댐 건설참여자 명단.
▲ 댐위는 화천으로 가는 도로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 평화의댐의 시설물을 소개.
▲ 평화의댐 주변관광지 안내 표지판.
▲ 平和의 댐, 이곳을 보는순간 즐거움 보다는 北韓에서 혹시 있을시 모르는 많은양의 물을 내려서 南韓을 물속으로
잠기게 하려는 것에 대비하여 댐이 존제해야 한다니 참으로 어이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언제까지 이런 대치를 해야할지 댐을 바라보면서 한숨만 길게 나왔습니다.
양구군에서는 승용차로 약 1시간 미만으로 갈수있는 곳입니다.
좀더 평화의 댐에 알고 싶으시면 ▶http://pyeonghwa.kwater.or.kr/ 들어 가셔서 보세요.
[사진을 더 크게 보시려면 사진위를 떠블클릭하여 보세요]
[스크랩] 난고 김삿갓 묘역 (0) | 2010.07.29 |
---|---|
[스크랩] 왔답니다-는-누구에게 말하는지? (0) | 2010.04.30 |
[스크랩] "완전" 이란 용어를 아무말에나 끌어다 들이대는 것은 (0) | 2010.02.15 |
[스크랩] 2010년의 백봉산 (0) | 2010.01.12 |
[스크랩] Re : 봉화제도당(烽火祭都堂) 아차산 봉수대지(阿且山烽燧臺址) (0) | 2009.11.28 |